엑셀 날짜 계산하기-다양한 날짜 함수 활용기

MS Office TIPs/MS 엑셀강좌|2019. 12. 4. 01:50

안녕하세요?

엑셀은 주로 숫자를 다루는 프로그램이지만 숫자와 더불어 많이 쓰는 내용이 날짜와 관련된 값일 것입니다.

특히, 시계열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분석하거나 기간별 분석, 그리고 전년도와의 비교 등을 위해서는 날짜에 대한 함수를 잘 다루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날짜와 관련된 함수 중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함수와 어떤 방법 날짜 계산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날짜 형식부터 알아볼까요?

엑셀에는 굉장히 다양한 형태로 날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연,월일, 년월, 월일, 요일 표시, 시간 표시 등 다양한 조합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시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2019-12-01' 또는 '2019/12/01' 등과 같은 형식일 것입니다.

오늘 예제에서는 '2019-12-01'의 형식으로 사용해 보겠습니다.

 

다양한 날짜 형식

 

1. TODAY()

기본적으로 괄호 안에 들어가는 값 없이 사용합니다.

오늘 날짜를 보내 줍니다.

'=TODAY()' => 2019-12-04로 표시됩니다.

 

2. NOW()

마찬가지로 괄호안에 값은 넣지 않습니다. 돌려주는 값은 오늘 날짜와 시간입니다.

'=NOW()' => 2019-12-04 09:24

 

* TODAT(), NOW() 함수를 사용할 때, 참조할 것은 뭔가 sheet에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면 각 함수의 값이 업데이트된다는 것입니다. 오늘 위의 함수로 수식을 만들어서 값을 확인했는데, 이틀 뒤에 다시 열게 되면, 그때의 날짜로 해당 셀의 값이 바뀌어 있으므로, 만일 처음 작성한 날짜가 바뀌면 안 된다면 함수를 쓰지 말고 날짜를 직접 입력해야 합니다.

 

3. YEAR(날짜), MONTH(날짜), DAY(날짜)

이 세 개의 함수는 날짜로 지정한 값에서 해당하는 년도, 월, 일을 표시해 줍니다.

[A1] 셀의 값이 '2019-12-04'라고 한다면,

'=YEAR(A1)' => 2019

'=MONTH(A1)' => 12

'=DAY(A1)' => 04

로 표시됩니다.

 

4. DATEDIF(시작하는 날짜, 끝나는 날짜, "계산 기준")

이 함수는 시작하는 날짜와 끝나는 날짜 사이의 차를 보여줍니다.

여기서 "계산 기준"은 Y, M, D, YD, YM, MD 중의 하나를 넣을 수 있고, 꼭 " "안에 넣어야 합니다.

Y는 두 날짜 간의 차이나는 햇수를 표시하고,

M은 두날짜간의 차이나는 개월 수를 표시하고,

D는 두날짜간의 차이나는 날수를 표시합니다.

YM은 두날짜 사이의 개월수를 표시하는데 해가 바뀌면, 바뀐 해는 무시하고 나머지 개월 수만 표시합니다.

YD는 YM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날짜를 구합니다.

마지막으로 MD는 기본 콘셉트는 동일하나, 차이나는 개월 수는 무시하고 남은 날수의 차이만을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날짜 계산을 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1] 2015-05-21,

[A2] 2020-11-07 일 때,

'=DATEDIF(A1, A2, "Y) => 5

'=DATEDIF(A1, A2, "M) => 65

'=DATEDIF(A1, A2, "D" => 1,997

'=DATEDIF(A1, A2, "YM) => 5

'=DATEDIF(A1, A2, "YD) => 170

'=DATEDIF(A1, A2, "MD) => 17

과 같습니다.

 

5. 날짜의 더하기와 빼기

날짜를 더하고 빼는 것은 간단하지 만은 않습니다.

날짜 수만큼 더하거나 빼는 것은 그냥 날짜에 해당 숫자만큼 더하거나 빼면 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A1] 2015-05-21, [A2] 20 일 때,

'=A1 + A2' => 2015-06-10이 됩니다. 즉, 2015년 5월 21일부터 20일이 지난 후의 날짜를 표시합니다.

 

반면, 개월 수를 더하거나, 년 수를 더하는 것은 좀 복잡합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YEAR(), MONTH(), DAY() 함수를 사용하여 날짜를 분리한 후, 더하고 빼는 작업을 한 후 다시 날짜 형태로 만드는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그럼 한번 보겠습니다.

[A1] 2015-05-21, [A2] 7, [A3] 21 일 때,

[A1]으로부터 7년 후의 날짜를 구하려고 한다면,

'=DATE(YEAR(A1)+A2,   MONTH(A1),   DAY(A1))' => 2022-05-21 이 됩니다.

또, [A1]으로부터 21개월 후의 날짜를 구하려고 한다면,

'=DATE(YEAR(A1),   MONTH(A1)+A2,   DAY(A1))' => 2017-02-21 이 됩니다.

원리는 간단한데 수식이 좀 길어져서 보기엔 안 좋긴 합니다.

그래도, 굉장히 중요하고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니 꼭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DATE함수는 DATE(year, month, day)와 같은 형식으로 사용됩니다. year, month, day에 해당하는 숫자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날짜로 계산되어 표시됩니다.

 

 

이상으로 날짜와 관련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를 정리해 봤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날짜와 관련된 함수는 상당히 많이 있으므로, 관심 있는 분들은 엑셀의 Help 기능을 한번 확인해 보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너무 방대하거나 찾기가 어려우면 아래 댓글로 달아 주시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